영화 퍼펙트 스톰을 아시나요? 폭풍, 한랭전선, 허리케인, 태풍 등의 충돌로 생기는 자연재해 속의 일을 그린 영화인데요. 이처럼 퍼펙트 스톰은 원래 기상 용어로 작은 태풍이 다른 태풍과 합쳐지거나 다른 자연 현상과 만나면서 세력이 강해지는 것을 뜻합니다. 오늘날 경제 용어로도 자주 사용되며, 최근 세계 경제에 '퍼펙트 스톰'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면서 하반기 키워드로 뽑혔습니다. 그럼 퍼펙트 스톰이 무엇을 뜻하는지 어떤 발생요인이 제기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퍼펙트 스톰이란?
퍼펙트 스톰이란 경제, 사회적으로 크고 작은 악재들이 동시에 나타나 상호작용을 일으켜서 심각한 세계 경제 위기가 초래되는 상황을 말합니다. 개별적으로는 위력이 크지 않은 태풍이 다른 자연현상과 겹치면서 상당한 파괴력을 갖게 되는 기상 현상으로써의 퍼펙트 스톰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따온 것이죠. 퍼펙트 스톰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달러 가치 하락과 유가 및 국제 곡물 가격 급등에 물가 상승 등이 겹치면서 경제용어로 쓰이기 시작했습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세계 경제를 휘청거리게 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Subprime mortgage) 사태를 시작으로 리먼브라더스 파산까지 이어지는 상황으로 퍼펙트 스톰의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발생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2000년대 초중반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조지 부시는 얼어붙은 미국 경제를 타개하기 위해 금리를 최대한 낮추고 낮은 신용 등급의 사람들도 대출을 쉽게 받아 집을 구할 수 있도록 주택소유장려정책을 펼칩니다. 이로 인해 2005~2006년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고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주된 원인인 주택을 담보로 한 파생 상품이 생기면서 슬슬 거품 경제에 대한 의견이 등장합니다. 2007 넌 아슬아슬하게 버티던 부동산 시장의 거품이 고정금리 인상으로 한순간에 꺼지게 되면서 은행과 대출받은 사람들이 경제적으로 위기에 빠지게 됩니다. 결국 2008년 세계적 투자 은행인 리먼 브라더스가 파산하며 전 세계적인 경제 충격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렇게 전 세계적인 경제 위기를 파악할 수 있었던 전조 증상이 있었지만 크고 작은 요소들이 하나씩 쌓이면서 합쳐져 결국에는 퍼펙트 스톰이라는 큰 경제 충격이 발생한 것입니다.
최근 퍼펙트 스톰 원인으로 들 수 있는 것은?
9월 12일 현대경제연구원에서 '세계 경제, 퍼펙트 스톰 오는가? 글로벌 5대 리스크 요인의 향방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최근 심각한 세계 경제 위기인 퍼펙트 스톰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면서 그 요인을 STORM이라는 5가지 요인으로 분석한 것인데요.
Stagnation (침체)
세계 경제의 침체 가능성을 나타낸 것으로, 미국이나 유로존 등 선진국에서 이미 경기 하강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며 내년 상반기 중 세계 경제가 침체 국면으로 진입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러한 선진국 경제의 성장세 위축은 신흥국으로 이어져 전체적인 경기 하강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Trade War (교역 전쟁)
미국과 중국 간 외교, 경제 갈등에 따라 글로벌 공급망과 교역이 단절된 상황을 말합니다. 조 바이든 집권 후 중국 견제를 위한 경제연합체인 IPEF가 출번되는 등 미, 중 간 교역 전쟁이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미, 중 갈등은 글로벌 공급망 회복 지연을 야기시키고 특히 우리나라는 중국 무역 여건 악화 등 미국과 중국 중 양자택일을 강요받는 상황이어서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Oil shock (오일 쇼크)
세계 경제의 침체 가능성이 커지면서 국제 유가가 90달러 안팎으로 소폭 하락하여 전 세계적인 물가 상승의 주된 원인이었던 고유가 현상은 비교적 완화되고 있지만 러시아의 유럽에 대한 가스 수출 통제 강화 등 유럽과의 에너지 전쟁이 본격화되면 고유가의 장기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Russia (러시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국 간 전쟁으로 유로존을 중심으로 한 경제 충격이 지속되면서 세계 경제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Monetary Policy (통화 정책)
최근 미 연준의 빠른 금리 인상과 계속된 연준 의장인 파월의 매파 발언으로 이어진 원/달러 환율 상승은 수입 물가 불안을 야기하고 국내 물가 안정화를 저해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미국 기준금리는 현재 2.25 ~ 2.5%까지 가파르게 오르며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00원 수준을 상회하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급등했습니다.
'하루 한장,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 한장, 경제] 17. 삼성전자도 가입하는 RE100은 무엇인가? (1) | 2022.09.13 |
---|---|
[하루 한장, 경제] 16. 주목해야 할 9월 경제 주요 지표 발표 일정 (0) | 2022.09.12 |
[하루 한장, 경제] 14. 경제, 상큼하게 알아볼래? 레몬마켓, 피치마켓, 체리피커 (0) | 2022.09.12 |
[하루 한장, 경제] 13. 샤넬 가격 또 올려도 오픈런 하는 이유, 베블런 효과 (0) | 2022.09.06 |
[하루 한장, 경제] 12. 2022 경제 키워드 속 수많은 랠리 찾기! 베어마켓 랠리, 허니문 랠리, 어닝 랠리 (1) | 2022.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