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 한장, 경제

[하루 한장,경제] 3. IPO란? 왜 하반기 대기업 IPO 시장은 얼어붙었나?

by 소심 다람쥐 2022. 8. 8.
반응형

 

 

오늘은 공모주 공부를 하시거나 공모주 청약을 노리시는 분들이라면 자주 들어봤을 경제용어인 IPO 뜻과 장단점, 등록 절차, 마지막으로 올해 하반기 예정되어 있던 'IPO 대어'라고 불리는 대기업들의 연이은 IPO 연기 및 철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IPO란?
2. IPO 장단점
3. IPO 등록 절차
4. IPO 최근이슈

 

 

 

IPO란?

IPO란 Initial Public Offering의 약자로 기업이 일정 목적을 가지고 자사의 주식과 경영내용을 공개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이 자사의 주식을 증권시장에서 공식적으로 거래되게끔 하려면 상장이라는 절차를 밟아야합니다. 상장 방법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로 이 IPO입니다. 50인 이상의 외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 첫 주식공매로 외부 투자자가 공개적으로 주식을 살 수 있도록 기업이 자사의 주식과 기업경영을 시장에 공개하여 주식회사 체제를 갖추는 것 입니다.

 

 

 

 

IPO 장단점

 

<장점>

IPO를 시행하는 기업은 주식가치의 공정한 결정, 법인세, 소득세 면제 등 세제상의 혜택, 자금조달능력의 증가, 주주의 분산투자 촉진 및 소유분산 등의 혜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은행권 대출 외에도 대규모 자금조달이 원활히 가능해지고, IPO를 통해 기업의 경영내용이 공시되므로 기업 홍보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과도한 간접금융에의 의존도를 경감시켜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국민의 기업참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보다 더 자극되어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하도록 합니다.

 

 

<단점>

IPO 준비과정은 최소 6개월 이상 걸리기 때문에 그동안 각 단계별로 많은 비용이 발생하고, 기업의 주식이 시장에서 매매 대상이 되는 만큼 경영권이 분산될 위험이 있습니다.

 

 

 

 

IPO 등록 절차

 

1. 사전준비: IPO를 진행하려는 기업은 IPO를 도와주는 증권사인 주관사를 선임하고, 정관 정비 등의 내부적으로 사전준비를 합니다.

2. 상장신청 및 심사: 한국증권선물거래소에 상장신청을 하고 한국거래소는 상장신청 기업을 대상으로 심사를 합니다.

3. 증권신고서 작성: 심사기준을 충족하여 승인된 기업은 주관사와 증권신고서를 작성합니다. 증권신고서에는 재무제표, 사업현황, 공모방법, 공모가 결졍방법, IPO 목적, 주주현황등을 포함합니다. 

4. 수요예측: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합니다. 이를 통해 경쟁률을 파악하고 적정 공모가를 결정합니다.

5. 청약: 공모가가 결정되면 기업은 시가총액이 결정되고, 공모주 청약이 시작되며 이틀간 진행됩니다.

6. 상장: 일정시간이 지나고 정식으로 주식시장에 상장 됩니다.

 

 

 

 

IPO 최근 이슈

 

올해 하반기 예정되어 있던 'IPO 대어'들은 다 어디로?



올해 공보 철회 및 IPO 중단 기업 (출처:아시아투데이)

 

 

 

현대엔지니어링, 현대오일뱅크, CJ올리브영, SSG닷컴 등 주요 대기업 계열사들은 올해 증시 상장을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증시 불확실성 확대로 인해 시장 분위기가 좋지 않고 그에 따라 투자 심리가 위축되면서 수요 예측 흥행이 실패하자 적절한 가치를 평가받을 수 없다고 판단해 상장 계획 철회하거나 잠정 중단했습니다.

 

IPO 시장 침체의 주된 원인은 금리 인상입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전세계 경기가 안좋아지자 정부가 시중에 많은 돈을 풀면서 유동성이 높아졌는데 이로 인해 물가상승률도 치솟았습니다. 물가상승률을 안정시키고자 금리를 인상했고, 금리가 인상될 경우 위험자산 투자 심리가 위축되며, 기업의 가치가 높게 평가받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차량 공유 업체인 쏘카는 "공모 철회는 절대 없다"고 강조했지만, 쏘카 또한 기관 수요 예측 흥행에 실패했습니다.

수요예측 결과에 공모 물량을 20%, 공모가 40% 축소를 검토 중인 상황에서 원래대로 상장을 강행할지 여부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